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저소득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이 제도는, 잘 활용하면 가계에 쏠쏠한 보탬이 될 수 있기에 2025년 근로·자녀장려금에 대해 꼼꼼하게 분석해 보겠습니다.

    1.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, 무엇이 다를까요?

     

    근로 장려금

     근로장려금: 근로는 하지만 소득이 낮아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, 사업자(자영업자), 종교인을 대상으로 합니다.  근로 의욕  을 높이고 실질적인 소득 증대를 목표로 하는 ' 근로 연계형 소득 지원 ' 제도입니다

     

    근로 자녀장려금

     

    자녀장려금: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 가구를 지원, 자녀 양육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.  두 장려금은 별개로 운영되지만, 신청 과정의 편의를 위해 '근로·자녀장려금'으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   

    2. 2025년, 언제 신청해야 할까요?

     

    3. 누가,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

     

    가구 구성과 소득, 재산 대상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
       1.소득 요건 (부부합산)

    가구유형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
    단독 가구 2,200만원 미만 x
    홑벌이 가구 3,200만원 미만 7,000만원 미만
    맞벌이 가구 4.400만원 미만 7,000만원 미만

       2.총소득: 근로소득(총급여액), 사업소득(총수입금액 × 업종별 조정률), 종교인 소득(총수입금액), 기타소득(총수입금액 -   필요경비), 이자·배당·연금 소득(총수입금액)을 모두 합산합니다.

    4. 재산 요건

    - 2024년 6월 1일 기준,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이 2.4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
    - 주택, 토지, 건물, 예금 등이 포함되며,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.

     

     지급금액

     

      단독 가구 홑벌이 가구 맞벌이 가구
    근로장려금 최대 165만 원 최대 285만 원 최대 330만 원
    자녀장려금 x 자녀 1인당 최소 50만 원 ~ 최대 100만 원 x

    5. 신청방법

     

     

   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

    근로·자녀장려금은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는 든든한 지원군입니다.

     

    꼭 확인해보시고 신청해 보세요~~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